정비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고속도로 네트워크에서 노선명과 함께 노선번호를 사용하여 안내하는 ‘넘버링’을 도입함으로써 방일 외국인을 비롯해 모든 이용자에게 알기 쉬운 길안내를 실현합니다.
〇 고규격 간선도로망(‘고속자동차 국도’ 및 ‘일반국도 자동차 전용도로’)과 이 도로망을 보완하여 지역의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노선
〇 고규격 간선도로망에서 주요 공항/항만, 관광지로 이어지는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노선
(※이미 넘버링이 실시되고 있는 도시고속도로(수도고속도로, 한신고속도로 등)는 이번 고속도로 넘버링의 대상이 아닙니다.)
1.친근하게
●지역 주민에게 익숙하고, 또한 국토의 근간에 해당하는 노선의 기존 국도번호(2자리수 이내)를 활용합니다.
2.심플하고 알기 쉽게
●숫자는 원칙적으로 2자리수 이내로 합니다.
●동일 기종점 등 기능이 비슷한 노선은 그룹(패밀리)으로 만듭니다.
●도로종별이나 기능을 알파벳으로 표현합니다.
・노선번호의 앞머리에 고속도로(Expressway)를 의미하는 ‘E’를 부여
・그룹(패밀리)으로 만드는 노선은 노선번호 마지막에 ‘A’를 부여
・순환도로는 노선번호 앞머리에 ‘C’를 부여
3.국토의 골격구조를 표현한다
●주요 국도번호로 국토의 골격구조를 표현할 수 있도록 노선의 기종점을 설정합니다
① 1자리수/2자리수 국도에 병행하는 노선 | 当해당 국도번호를 부여 | 예)![]() ※병행 노선은 국도1호 |
---|---|---|
② 1자리수 국도와 그룹(패밀리)으로 만드는 노선 | 신토메이 고속도로/신메이신 고속도로는 도메이 고속도로/메이신 고속도로의 병행노선으로 한 ‘1A’, 주고쿠 고속도로는 산요 고속도로의 병행노선으로 한 ‘2A’로 그룹화 | ![]() 신토메이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 이세완간 고속도로 |
![]() 주고쿠 고속도로 간몬 고속도로 |
||
3호, 4호, 5호는 선행적으로 정비된 루트에 번호를 부여하고, 기존 국도가 병행하는 구간의 노선에는 'A'를 붙인 노선번호로 그룹화 | ![]() ![]() 〔하치노헤 고속도로, 아오모리 고속도로 등〕 ![]() 〔삿손 고속도로 등〕 |
|
③ 순환도로 | 수도권, 나고야권의 순환도로는 알파벳으로 기능을 표현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고속도로 환상도로와의 정합성도 배려 | ![]() ![]() ![]() ![]() ![]() |
④ 1자리수/2자리수 국도에 병행하는 노선의 대상을 확대하여 번호를 부여하는 노선 | 홋카이도 종단 고속도로는 국토 전체 및 홋카이도의 골격 구조를 표현하는 노선이라는 점에서 5호로 번호 부여 | ![]() 〔도오 고속도로 등〕 (국도 5호, 37호, 36호, 12호, 40호) |
2자리수 국도에 동일 지역 내에서 대체로 방향이 일치하는 노선은 해당 국도번호를 활용 | 예)![]() ![]() |
|
병행하는 국도가 3자리수 번호이거나 병행하는 국도의 국도번호를 별도 노선에 부여하는 노선 중 가까이에 2자리수 국도가 있으면 해당 국도번호를 연장 | 예)![]() (국도14호, 16호, 127호) |
|
⑤ 그 외의 노선 | 국도번호에 사용되지 않은 59번 이후의 2자리수 번호를 부여 | 예)![]() |
컴팩트한 형상을 이용하여 노선번호를 가능한 한 기능적으로 표현합니다.
도메이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
신토메이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
이세완간 고속도로
주오 고속도로(다카이도~오카야)
시코쿠 횡단 고속도로(고치~오즈)
[고치 고속도로 등]
마쓰야마 고속도로(오즈~마쓰야마)
수도권 중앙 연결 고속도로
(가마리야~기사라즈)
도쿄만 아쿠아라인
도쿄만 아쿠아라인 연결도로
노선번호 | 일본어 읽기 | 영어 읽기 |
---|---|---|
E1 | E-ichi | E-one |
E4A | E-yon-A | E-four-A |
E56 | E-goju-roku | E-fifty-six |
C4 | C-yon | C-four |
CA | C-A | CA |
노선번호와 노선명을 동시에 기입하여 안내합니다
지도나 카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을 추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