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헤이세이신잔의 성립

  • 나가사키
장르:
자연 건조물·시설
매체 이용 구분:
간판
단어 수:
250 이하
작성 연도:
2019
지역 협의회명:
Shimabara tourism board

The Origin of Mt. Heisei Shinzan

This is the second observation point along Nita Pass. On a clear day, you should be able to see the peak of Mt. Heisei Shinzan (1,483 m) and look out over the city of Shimabara toward the Ariake Sea to the east.

Before November 1990, Heisei Shinzan did not exist. From this vantage point, you could see Mt. Fugen (1,359 m), which was then the tallest mountain on the Shimabara Peninsula, along with the shorter peaks to the east above the city of Shimabara. Volcanic activity began at the end of 1990 and over the next 5 years, lava domes would form and then collapse, sending destructive avalanches of hot gas, ash, and mud down the mountainside.

On June 3, 1991, the volcano erupted, causing a pyroclastic flow that killed 43 people and destroyed more than 2,000 homes. Debris from the eruption reached as far as the Ariake Sea. Pictures taken shortly after the event show a landscape devastated by the continual eruptions.

Nature, however, is resilient. This was far from, and these eruptions were not the first time the Unzen volcanoes had destroyed the community that lived at their base. By 1998, Heisei Shinzan had completely stabilized, and over the subsequent decades the mountain’s ecosystem has quickly recovered. Plants native to Unzen grow well in the volcanic soil, and grasses and shrubs were the first to return to the mountainside. Trees began to emerge within the first 10 years after the eruption.

For most, the Heisei Eruptions exist only in memory, and the devastation left behind is barely visible now that the landscape has leveled out and much of its flora has regrown.


平成新山の成り立ち


仁田峠の 2 番目の展望所である。晴れた日には、遠くに平成新山の山頂(1,483 m)や島原半島を望める


1990 年の秋以前には平成新山は存在していなかった。この見晴らしの良い場所から、当時島原半島で最も高い普賢岳(1,359 m)と島原の町東方の低い山々を見ることができる。火山活動は1990年末に始まり、その後の5年間で溶岩ドームが形成されて崩壊し、高温ガス、灰、泥などの破壊的な雪崩が山腹を下っていった。

1991年6月3日、火砕流が起こり、43人が死亡し、2,000軒以上の家屋が破壊された。噴火によるがれきは有明海まで達した。直後に撮影された写真は、絶え間ない噴火で破壊された風景を示している。

しかし、自然は回復力がある。これまでにも同様の噴火があり、この噴火が雲仙火山にとって初めてのものではない。1998年までに、平成新山は完全に安定し、その後の数十年間で山の生態系は急速に回復した。雲仙の植物は火山性の土の中でよく育ち、草木が真っ先に山腹に戻ってきた。噴火後10年以内には木が生え始めた。

ほとんどの人にとって、平成の噴火は記憶の中にしか残っておらず、地形が平らになり、多くの植物相が再生した今、残された荒廃はほとんど目に見えない。


平成新山的起源


這裡是仁田峠第二觀景台。天氣晴朗的時候可以看到平成新山的頂峰(1483公尺),往東還可眺望島原市全景以及更遠處的有明海。

平成新山在1990年11月之前並不存在。當時,從這個觀景台只能看到島原半島最高的普賢岳(1359公尺),以及島原市中心以東較矮的群山。1990年底,這裡的火山進入了活躍期。在此後5年中,熔岩穹丘不斷形成、坍塌,熱氣、火山灰和泥漿摧枯拉朽地沖下山坡。

1991年6月3日,火山爆發,所引發的碎屑流造成44人死亡,2000多所房屋被毀,火山碎片一路蔓延到遠處的有明海。從噴發後不久拍攝的照片可以知道,火山噴發對這裡的景觀造成了嚴重破壞。

然而,大自然具有頑強的生命力。山腳的村落曾好幾次因為雲仙火山噴發遭難,直到1998年,平成新山才完全穩定下來。此後幾十年裡,山上的生態系統迅速恢復。原生植物在火山土壤中蓬勃生長,綠草和灌木重新覆蓋了山坡,噴發後10年內,樹木也漸漸出現。

對大多數人而言,平成火山大噴發已經成為記憶,因為被破壞的地形已經平整,大部分植被也都已生機盎然,當年噴發後滿目蒼夷的景象已蕩然無存。

平成新山的起源


这里是仁田峠第二观景台。天气晴朗的时候,可以看到平成新山的顶峰(1483米),往东还可眺望岛原市全景以及更远处的有明海。

在1990年11月之前,平成新山并不存在。当时,从这个观景台只能看到岛原半岛最高的普贤岳(1359米),以及岛原市中心以东较矮的群山。1990年末,这里的火山进入了活跃期。在此后5年里,熔岩穹丘不断形成,继而又坍塌,热气、火山灰和泥浆摧枯拉朽地冲下山坡。

1991年6月3日,火山爆发引发的碎屑流造成44人死亡,2000多所房屋被毁,火山碎片一路蔓延到了远处的有明海。喷发后不久拍摄的照片显示,持续的火山喷发已对这里的景观造成了严重破坏。

然而,大自然具有顽强的生命力。山脚的社区曾数次因云仙火山喷发遭难,直到1998年时,平成新山完全稳定下来。此后几十年里,山上的生态系统迅速恢复。原生植物在火山土壤中蓬勃生长,绿草和灌木重新覆盖了山坡,喷发后的10年中,树木也渐渐出现。

对大多数人而言,平成火山大喷发已成记忆,因为当时被破坏的地形已经平整,大部分植被也都已生机盎然,当年喷发后满目苍夷的景象已荡然无存。

헤이세이신잔의 성립


이곳은 니타토게 제2전망소입니다. 맑은 날에는 멀리 헤이세이신잔(1,483m) 정상이 보이고, 시마바라 시가지에서 동쪽 아리아케카이까지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1990년 가을 이전에는 헤이세이신잔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전망 좋은 이곳에서는 당시 시마바라반도에서 가장 높은 후겐다케(1,359m)와 시마바라 마을 동쪽의 낮은 산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1990년 말 시작된 화산 활동은 그 후 5년 동안 종상화산의 형성과 붕괴를 반복하면서 고온 가스, 재, 진흙 등에 의한 파괴적인 사태를 일으키며 산허리를 내려갔습니다.

1991년 6월 3일에 일어난 화쇄류로 43명이 사망했고 2,000채 이상의 가옥이 파괴되었습니다. 분화로 인한 잔해는 아리아케카이까지 달했습니다. 직후 촬영된 사진은 그칠 줄 모르는 분화로 파괴된 풍경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자연에는 회복력이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비슷한 분화가 있었고, 운젠 화산이 산기슭 마을을 덮친 것은 이 분화가 처음이 아닙니다. 1998년이 되기 전에 헤이세이신잔은 완전히 안정되었고, 그 후 수십 년간 산의 생태계는 급속히 회복되어 갔습니다. 운젠의 식물은 화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초목이 가장 먼저 산허리 부근으로 돌아왔습니다. 분화 후 10년 안으로 나무가 자라기 시작했습니다.   시마바라시는 최초의 종상화산이 출현한 지 5년째를 맞은 1996년 5월 20일에 이 종상화산 부분을 헤이세이신잔이라고 명명하고, 오랫동안 지속된 재해와 새로운 부흥의 기념으로 삼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헤이세이의 분화는 기억 속에만 남아 있으며, 지형이 평평해지고 많은 식물상이 재생된 지금 황폐했던 흔적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재검색